과신뷰349 [자문위원 칼럼] 간섭이 아닌 존중을 창조과학과 싸움까지는 아니라도, 그들의 잘못된 성경해석에 맞서고, 그 폐해를 알리는 일을 나름 15년 가량 해왔다. 그 발단은 모 선교단체 목사로 활동하던 시절, 매년 수련회 때마다 창조과학 유명강사들을 불러 강연회를 여는 일을 늘 반대하다 이상한? 목사 취급을 받으면서부터였다. 의대생이 주류인 그 선교단체가 그 똑똑한 학생들을 창조과학으로 세뇌시켜 헛똑똑이로 만드는 것이 과연 기독교 선교단체 목사로서 할 일인지 당시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때부터 개인 블로그와 페북 등을 통해 창조과학의 문제점을 알렸다. 그 과정에서 같은 생각을 가진 여러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고, 그 중요한 결실이 2015년 가을에 태동된 다. 목회자 가운데 나서는 자가 거의 없다보니 나 같은 사람도 과신대 목회자 자문위원을 맡게 되었다.. 2021. 2. 22. [기후변화 제국의 프로테스탄트] 12. 코로나와 이산화탄소 배출량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이 달라졌습니다. 우리의 일상 행동 하나하나에 이산화탄소 배출이 따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그랬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이산화탄소 배출 현황은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요? 코로나 이후 7% 감소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2020년 전 세계 화석 연료 및 산업 분야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2019년 대비 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19가 경제에 미친 영향 때문입니다. ‘글로벌 탄소 프로젝트’(Global Carbon Project)의 연구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340억 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전 세계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 그래프(출처: Global Carbon Project) 이는 2019년에 비해 24.. 2021. 2. 18. 과신View vol.45 (2020.2)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전체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mailchi.mp/9543f793a8ed/view-vol43-1934119 과신View vol.45 목록 [자문위원 칼럼] 생물다양성과 6번째 대멸종 그리고 책임윤리(오세조) [과신대 인터뷰] 이재진 회원님을 소개합니다. [바이오로고스] 어떻게 인간이 진화하고도 여전히 "하나님의 형상"일 수 있습니까?(김영웅) [우수논문상 수상자] 과신대 우수논문상 수장자 정회수님을 소개합니다. [SF 영화와 기독교]인터스텔라와 시간의 매개(김양현) [기자단 칼럼] 온라인 대중강좌 “종교 중독과 기독교 파시즘”를 듣고(최성일) [사무국 소식] 사무국 소식 202102 (최경환) [아카데미 핫클립] 창세기는 어떤 책인가? [Comming Soon] 과신대 핵심과정 4.. 2021. 2. 17. [자문위원 칼럼] 생물다양성과 6번째 대멸종, 그리고 책임윤리 (2) 생물다양성과 6번째 대멸종, 그리고 책임윤리 (2) 오세조 목사 (팔복루터교회, 과신대 자문위원) 쓰레기 문제 ‘크리스 조던’이라는 사진가가 태평양의 미드웨이 섬을 촬영하다가 발견한 사실은 이런 예상을 지지한다. 이야기는 이렇다. 크리스 조던은 미드웨이 섬을 방문해서 생태사진을 촬영하다가 자신이 직접 놀라운 광경을 목격한다. 바로 하늘을 나는 새 중에서 가장 큰 새로 알려진 앨버트로스의 어미 새가 새끼들에게 주는 먹이 가운데 플라스틱 쓰레기가 있는 것이다. 우리가 버린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어미 앨버트로스가 먹이로 착각해서 이것을 물어다 새끼에게 먹이로 주는 것이다. 결국 어미 새로부터 플라스틱 쓰레기를 받아먹은 새끼는 자신의 배속에 있는 플라스틱의 무게 때문에 날지도 못하고, 마침내는 플라스틱으로 인.. 2021. 2. 8. [SF영화와 기독교] 1. 인터스텔라와 시간의 매개 인터스텔라 Interstellar, 2014 SF, 액션, 미스터리 미국, 영국 169분 2014.11.06 개봉 감독 : 크리스토퍼 놀란 주연 : 매튜 맥커너히(쿠퍼), 앤 해서웨이(아멜리아), 마이클 케인(브랜드) 시간이란 무엇일까? 일찍이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시간을 3등분하였다. 과거, 현재, 미래다. 그는 시간을 일직선으로 보았다. 시간은 흘러가는 것이다. 그런데 이 전통에 반기를 든 사람이 그 유명한 아우구스티누스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시간을 물리적 연장선으로 보지 않았다. 그는 시간을 점으로 보았다. 그에게 시간이란 언제나 현재였다. 현재가 점처럼 무한 반복되는 것이 시간이라는 것이다. 그럼 과거는 무엇인가? 과거는 현재 내가 기억하는 것이다. 미래는 현재 내가 기대하는 것이다. 아우.. 2021. 2. 8. [자문위원 칼럼] 생물다양성과 6번째 대멸종, 그리고 책임윤리 (1) 생물다양성과 6번째 대멸종, 그리고 책임윤리 (1) 오세조 목사 (팔복루터교회, 과신대 자문위원) 어느 순간부터 휴대전화는 현대인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몸의 일부가 되었다. 그런데 동물 중에 인간이 사용하는 휴대전화를 무서워하는 동물이 있다고 한다. 과연 어떤 동물일까? 정답은 고릴라다. 그러면 고릴라에게 무슨 사연이 있기에 인간이 사용하는 핸드폰을 고릴라는 무서워할까? 고릴라의 사연을 한 번 들어보자. 휴대전화의 핵심부품 중에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능이 뛰어나며 높은 온도에 잘 견디는 성질이 있는 ‘탄탈륨’이 있다고 한다. 당연히 사람들은 이 탄탈륨을 많이 얻고자 할 것이다. 탄탈륨은 ‘콜탄’이라는 광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데 전 세계적으로 ‘콜탄’이 많이 매장되어 있는 곳은 아프리카의 콩고민주.. 2021. 1. 22. 과신View vol.44 (2021.1)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전체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mailchi.mp/37951c40d486/view-vol43-1928571 과신View vol.44 목록 [대표서신] 2021년 과신대 성장기의 시작입니다. (우종학) [과신대 인터뷰] 안용성 목사님 인터뷰 (백우인) [바이오로고스] 인류 진화의 유전적 증거는? (김영웅) [과신대 기초다지기] Why & How (이혜련) [과신대 소식]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 강연 요약 (송윤강) [과신책]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최성일) [칼럼1] 이곳에서 튤립 머리를 보았다 (백우인) [칼럼2] 동방박사 이야기 (유원상) [사무국 소식] 사무국 소식 202101 (최경환) 2021. 1. 13. 역사란 정답을 추구하는 학문이 아니다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 강연 요약 일시: 2020년 12월 19일 강연: 밴쿠버 기독교 세계관 대학원 최종원 교수 이 글은 분당/판교 북클럽에서 주관한 의 강연, 최종원 교수님의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최종원 교수님의 강연과 그 후 질의응답을 통해 보완된 내용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같이 묶어서 정리했습니다. 본격적인 교회사 강연에 앞서 역사철학의 이해에 대한 심도 깊은 설명이 있었는데, 이는 교회사 이해와 관련하여 그동안 우리가 가지고 있던 역사에 대한 편향된 관념을 바로 잡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보통 암흑기라 생각하는 중세사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고, 따라서 우리 개신교 신앙의 출발인 종교개혁에 대하여도 다시 성찰하게 했습니다. 역사에 대한 이해: 역사란 정답을.. 2021. 1. 11. <기초과정2> 1강을 듣고: Why & How (LEE기자와 함께하는) 과.신.대 기초 다지기 1 1강을 듣고 얼마 전, 과.신.대 에서 우종학 교수님의 강의만 따로 편집하여 라는 강의를 새로 개설했다. 이 강의는 그동안 을 수강했지만, 을 수강하기에는 다소 부담감이 있던 사람이라면 반색을 할만한 강의이다. 또한 만 수강하고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든다던가, 강의를 들었지만 아직 어리둥절한 사람들에게도 적합하다. 이미 을 수강한 사람이라도, 기초를 다시 한번 다진다는 의미에서 새로 개설된 를 수강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 1강의 주제는 ‘창조론에 대한 종합적 이해’이다. 총분량은 약 20분으로, 가볍게 들을 수 있는 분량이다. 일반적으로 ‘창조’라고 하면 하나님이 6일에 나누어 세상을 창조하셨다고 생각하는 것이 크리스천이나 비크리스천이나 공통으로 갖고.. 2021. 1. 11.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