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신대 이야기/과신대 소식

이제는 『만들어진 신』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겠습니다.

by 과학과 신학의 대화 2020. 5. 20.

 

이제는 『만들어진 신』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겠습니다.

- 서울신학대학교 박영식 교수님의 과신대 핵심과정 강의를 듣고 -

 

 

과신대 핵심과정 제7강은 서울신학대학교 박영식 교수님께서 <무신론에 대한 이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강의 내용도 무척 유익하고 좋았지만 개인적으로 더 좋았던 것은 차분하고 겸손하게 말씀하시는 교수님의 강의 모습이었습니다. 혹시라도 무신론자들과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으면 교수님처럼 대화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에 교수님께서 강의해주신 내용은 주로 '새로운 무신론(New Atheism)'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이 새로운 무신론은 영국의 진화생물학자이며 <만들어진 신>의 저자인 리처드 도킨스가 중심에 서 있는 과학주의 무신론입니다. 과신대 강의라서 그런지 무신론 중에서도 과학주의 무신론에 무게를 많이 두신 것 같습니다. 그럼 교수님께서 강의해주신 내용 중에 몇 가지 핵심적인 내용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과학주의 무신론 

 

과학주의 무신론은 ‘새로운 무신론(New Atheism)’ 이라고도 하며 그것이 주로 하는 일은 과학이라는 무기를 들고 종교를 사정없이 매도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무신론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서두에 말씀드린 리처드 도킨스 외에 크리스토퍼 히친스, 샘 해리스, 대니얼 데닛 등이 있습니다. 과학주의란 과학을 절대적으로 신봉하는 이념으로서 과학을 모든 영역에 적용하여 과학적인 답변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과학으로 탐구할 수 없는 영역을 과학보다 열등하다거나 거짓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과학이 많은 것을 해명할 수는 있겠으나 모든 것을 해명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태어나는 것에 대하여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인 분석과 설명은 가능하겠지만 그 아이를 낳고자 하는 부부의 사랑과 열망을 과학적으로 어떻게 분석하고 설명할 수가 있을까요?

 

 

 

도킨스의 무신론과 그의 오류

 

리처드 도킨스는 과학의 이름으로 가장 활발하게 무신론 운동에 앞장서는 인물입니다. 특히, 그의 책 <만들어진 신>(The God Delusion, 2016)은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습니다. 그는 책과 강연을 통해 거침없이 종교는 악이며, 신은 망상일 뿐이라고 주장합니다. 그가 현실 종교만을 보고 종교는 악하므로 박멸해야 한다고 한다면, 같은 논리로 TV 뉴스나 언론매체에서 보도되는 수많은 인간의 악행을 보고 인간은 악한 존재이니 모두 박멸되어야 한다고 주장을 해야 할 것입니다. 도킨스는 현실 종교와 그 종교의 지향점이나 본질을 서로 구분하지 않고 동일시하여 비판합니다. 그렇다면 그가 그렇게 숭배하고 있는 과학이 인류사에 과연 선한 것만 남겼는지 질문을 해봅니다. 우생학적 연구, 원자폭탄 개발,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인한 환경 파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러한 것들 때문에 과학을 악하다고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을 놓고 볼 때 과학이나 종교나 그 자체로는 악이라고 말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도킨스가 반과학적이라고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기독교는 창조과학을 주장하는 근본주의 기독교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건전한 이성과 참된 과학의 주장을 부정하는 창조과학회와 지적설계가 마치 기독교 전체를 대표하는 것처럼 기독교를 비판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는 오늘날의 신학과 폭넓게 대화하지 않고, 오히려 기독교 전통에는 포함되어 있지만 이미 내부적으로 결점과 오류를 지적받았던 기독교의 특정 부분인 창조과학과 지적설계를 소환해서 마치 기독교 전체가 그런 오류에 빠진 것처럼 비판하고 있습니다.

 

도킨스는 과학이 아직 해명하지 못한 부분에 신의 설계를 슬쩍 집어 넣는 지적 설계론의 ‘틈새의 신’을 비판합니다. 하지만 지적 설계론이나 도킨스나 모두 동급의 오류에 빠져 있습니다. 도킨스는 생물체의 진화과정에서 해명되기 어려운 부분을 ‘우연’으로 환원해 버리기 때문입니다. 지적 설계론이 ‘틈새의 신’을 요청했던 것처럼 도킨스는 ‘우연의 악마’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도킨스의 또 다른 책인 <이기적 유전자>에서 그는 ‘모든 것은 유전자가 결정한다’는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도킨스는 그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유전자결정론이나 유전자 환원주의를 전제해 놓고 여러 사례들을 자기주장에 꿰맞춰 해석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기 주장의 틀 안에서만 정합성을 갖는 순환논법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도킨스의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도킨스는 종교 비판을 할 때 그가 신봉하는 과학으로 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무신론적 신념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과학과 신학의 관계 

 

과학과 신앙의 관계는 어떻게 이해되어야 할까요? 카를로 로벨리의 <보이는 것은 실제가 아니다>라는 책에 보면 조르주 르메트르의 일화가 나옵니다. 벨기에의 로마 카톨릭 사제이자 천문학자이며 빅뱅의 최초 발견자인 조르주 르메트르는 교황 비오 12세가 어느 연설에서 빅뱅 이론이 창세기의 이야기를 확증하는 것이라고 선언하자 교황이 창조와 빅뱅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을 삼가도록 설득합니다. 르메트르의 생각은 과학과 종교를 이런 식으로 섞어서는 안 되며, 성서는 물리학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고 물리학은 하나님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결국 비오 12세는 설득되었으며 다시는 공개적으로 빅뱅과 창조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과학은 과학의 방법으로 진리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과학이 많은 부분들을 증명하고 원리를 밝혀주고 있지만 오늘날 과학이 진리 자체를 말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신학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에 대해 아무리 자세하고 아름답게 묘사를 한다고 하더라도 그 표현의 넓이와 깊이에는 인간적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습니다. 르메트르가 말한 것처럼 과학과 종교가 각자의 영역을 구분하지 않고 섞여서는 곤란할 것입니다. 과학은 종교가 보지 못한 것을 보게 하고, 또한 종교는 과학이 볼 수 없는 것을 보게 하듯이 과학과 신앙은 서로의 한계 안에서 서로의 영역을 지키면서 공명해야 합니다.

 

 

과신대 김완식 기자 (comebyhere@daum.net)

댓글